부분의 망막시각신경의 연결세포 인터페이스만 찾는다면,
AI를 통한 도로감시카메라,등이 세상의 새로운 변화를 일으켜 줄것이라 믿는다.
공부하면서 중구남방으로 반말도 쓰고 내용도 올리고 할거니까...이런것에 참고하시고 봐주세요.
시작
-------------------------------------------------------------------------------------------------------------------------------------------------
망막 신경절 세포는 눈 망막의 내부 표면(신경절 세포층) 근처에 위치한 뉴런 유형입니다. 양극성 세포와 무축삭 세포라는 두 가지 중간 뉴런 유형을 통해 광수용기로부터 시각 정보를 받습니다. 망막 신경절 세포는 영상 형성 및 비영상 형성 시각 정보를 망막에서 시상, 시상하부, 중뇌 또는 중뇌의 여러 영역으로 집합적으로 전송합니다.
망막 신경절 세포는 크기, 연결 및 시각 자극에 대한 반응 면에서 크게 다르지만 모두 뇌까지 확장되는 긴 축색 돌기를 갖는 정의 속성을 공유합니다. 이 축삭은 시신경, 시신경교차 및 시신경로를 형성합니다. 망막 신경절 세포의 작은 비율은 시력에 거의 또는 전혀 기여하지 않지만 그 자체는 감광성입니다. 그들의 축삭은 망막 시상하부로를 형성하고 일주기 리듬과 동공 광반사, 동공 크기 조정에 기여합니다.
==================================================================================================================================================
망막 신경절 세포는 시각의 정보를 뇌로 보내는 연결을 하는 녀석... 이녀석이 고장나면... 축색돌기라고 하는 녀석들이 뭉쳐있어서... 다른 정보들을 뇌로 보내는 역할을 하는걸 거다.
(내가 알아야 할 것... 위치, 연결 두가지이다.....그리고 하나하나 이름들의 역할과 내용이다. )
오늘은 신경절 세포의 수지상가지라는 녀석을 찾아보았다. 수지상세포라고 한다.
위치
신경절 세포는 망막의 가장 안쪽에, 렌즈와 눈의 앞부분에 가깝게 존재합니다.
연결(Connections)
신경절 세포는 시각적 세상의 특징들을 추출하고 그것을 빈도로 조절되는 spike train 형태로 암호화 하며, 신경 세포 축삭을 따라서 다시 다양한 두뇌의 시각 센터로 보냅니다. 이러한 과정의 첫 단계는 무축삭 세포와 양극성 세포의 신경전달물질이 신경절 세포 수상돌기막에 박혀있는 특화된 수용체 단백질과 결합하는 것입니다. 이들 수용체 분자들은 무축삭 세포 및 양극성 세포와 시냅스를 형성하는 부위에 집중되어있습니다. 일단 신경전달물질이 결합하면, 아시냅틱막(subsynaptic membrane)에 존재하는 일종의 작은 구멍인 이온 선택적 채널(ion selective channels) 이 열리게 됩니다. 그러면 전기화학적 구배에 의해서 전하를 띄는 이온들이 이들 채널을 통해 쏟아져 들어옵니다. 이러한 결과로, 생체막 전위를 변화시키며 전류가 세포로 흐르게 됩니다. 이러한 시냅스의 전류는, 수지상 구조와 다른 잠재적 민감 이온 채널간의 복잡한 교류작용을 통해서(Fohlmeister and Miller, 1997), 신경절 세포가 발사하는 속도를 변화시키며 시각적 신호를 두뇌로 전달합니다. 망막에 위치한 신경절 세포의 축삭은 막에 덮이지 않은 반면(not myelinated), 망막 외부에 존재하는 신경절 세포의 축삭은 막에 덮여있습니다.
레이어처럼 쌓여있는 듯한 느낌이다. 뉴런의 활동이나... 눈의 세포관련해서 보면 이런것들을 종종 볼수 있다.
내가 알고싶은것은 저렇게 모여있는 것들이 어떤역할을 하며 세포하나하나가 세포분열식의 활동이 어떻게 뇌로 전달이 되는가 하는것이다.
신경으로 들어오는 정보(빛,모양.결정체, 시상,) 종합적 판단이 뇌와 함께 손과 함께 판단하고 명령하고 움직이는 이 신기한 과정을 하나하나 찾아보고 있다.
오늘은 이것도 어려워서.. 저 수지상 가지(세포)를 알려고 했는데.. 다른것을 더 알아야 한다. 이런거다..--
https://ko.wikipedia.org/wiki/%EC%88%98%EC%A7%80%EC%83%81_%EC%84%B8%ED%8F%AC
양극성 세포와 무축삭 세포, 두 종류의 중간 신경세포를 거쳐 광수용체로부터 시각 정보를 받습니다. => 세포의 내용을 받아..뇌로 전달하는 과정이다. 흔히 우리가 알고 있는 시상, 시상하부, 뇌간 이다. 시각정보를 받는 곳이지... 그전에 정보들을 연결하는 통로인셈... 나는 이부분이 중요하다..
왜나면.... 내가 개발하는 시각영상 카메라와 이부분을 연결할거니까.. 수학자나.. 뇌 연구가, 과학자가 해야 할 일인데... 직접 해보려고 인터넷을 뒤지고 있다. 대부분 해외 문서들..(번역도 다 되고,,,, 진짜 세상 좋아졌지...)
수지상 세포는 눈안에 있는 시상, 시상하부, 뇌간등에 정보를 보내는 정도의 세포로 알면 될것 같은데.. 레이어의 집합체인듯하다. RGB같은 느낌....
각각의 역할이 있겠지....
인터넷 바다에 빠져 조혈 골수 간세포에서 조혈모 세포로 갔다가 조혈모세포의 시조인 다능성 전구세포(multipotent progenitor cell)을 발견했다....
다능성 전구세포 는 백혈병, 혈액암등에서 빼내 죽여야 하는 ㅡㅡ; 이런걸로 흘러가냐..
알아야 할 단어들(빨간색으로...)
참조 문헌 사이트
https://wiki.eyewire.org/Ganglion_Cell#Introduction
https://wiki.eyewire.org/Ganglion_Cell/ko
https://ko.wikipedia.org/wiki/%EC%88%98%EC%A7%80%EC%83%81_%EC%84%B8%ED%8F%AC
https://wiki.eyewire.org/Bipolar_Cell/ko
https://wiki.eyewire.org/images/thumb/3/3e/Bipolar_Chart.jpg/360px-Bipolar_Chart.jpg
'아이디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 공부 중... 정리 (0) | 2024.07.17 |
---|---|
자연신경망 뉴로모피칩 (0) | 2024.07.17 |
뇌와 컴터 연결하기 물어보기.. (0) | 2024.07.17 |
뇌 연결 방법을 GPT에 물어봤어요. (2) | 2024.07.17 |